1. 정격 전압 (Rated Voltage)
차단기 정격 전압은 차단기에 인가될 수 있는 계통 최고 전압을 말합니다. 차단기 내부에도 각각 위치에 따라 실제 전압이 다를 수 있는데 그 중 최대 전압을 말합니다. 정격 전압 수치는 3상의 선간 전압 실효치로 나타냅니다. 아래에서 공칭 전압은 외부에 얘기할 때 공통적으로 통일한 규격 전압을 얘기합니다.
정격 전압 = 공칭 전압 X 1.2/1.1
공칭 전압 (KV) | 3.3 | 6.6 | 22.9 | 66 | 154 | 345 | 765 |
정격 전압 (KV) | 3.6 | 7.2 | 25.8 | 72.5 | 170 | 362 | 800 |
2. 정격 전류 (Rated Current)
보통 상태에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로 정격 전압, 정격 주파수에서 각 부분의 온도 상승 한도를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는 전류 한도를 말합니다.
정격 전류 = 전력 P / (√3 X 전압 V X COSθ)
3. 정격 차단 전류 (Rated Breaking Current)
정격 전압, 정격 조건 하에서 기구가 표준의 동작 책무를 행하는 경우 차단기가 차단할 수 있는 단락 전류의 한도를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차단기가 고장났을 때의 전류를 말하며 단락 전류와 수치는 유사합니다. (교류 실효치)
4. 정격 차단 용량 (Rated Breaking Capacity)
정격 차단 용량은 식 그대로 차단기의 정격 전압과 정격 차단전류를 곱하여 여기에 3상일 경우 √3배 한 값을 말합니다.
정격 차단 용량 = √3 X 정격 전압 X 정격 차단 전류
5. 정격 투입 전류 (Rated Making Current)
정격 전압, 정격 주파수에서 표준 동작 책무에 따라 투입할 수 있는 투입 전류를 말합니다. 돌입 전류라고도 할 수 있으며 평상 시 전류의 약 2.5배입니다. 물이 막혔다가 뚫리면 초기에 갑자기 많은 물이 들어오는 것으로 전류를 대입하여 이해하시면 됩니다.
6. 동작 책무
규정된 회로 조건에서 정격 차단 전류 및 정격 투입 전류를 차단 또는 투입할 수 있는 조건과 횟수로 차단 전류 및 투입 전류로 TEST하는 기준이 됩니다. CO = Close and Open, 순간적으로 혹은 일정한 시간을 두어 개폐를 하여 이상 정도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7. 정격 차단용량(MVA)
차단기의 정격 차단용량은 3상 교류인 경우 차단기의 정격 차단전류와 정격전압과의 곱에 √3을
곱해준 것이다.
즉, 정격차단용량 = √3 ×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이다.
차단용량은 전력계통의 규모가 커질수록 커지기 때문에 경제적인 차단기를 사용하려면 정격차단
전류를 감소시켜야 한다.
※ 정격전류는 정격차단전류와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우리가 쓰는 전기가 과부하가 걸려 떨어지는 기준이 정격전류이고 정격차단전류는 단락사고(합선사고)때 흐르는 대전류에서 차단하는 기준입니다. 단락사고(합선사고)는 서로 저항(교류에서는 임피던스)없이 서로 붙어버린 상태다 보니까 대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01.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동기 DATA 중 LRC (0) | 2021.12.12 |
---|---|
전원에 자동차단에 의한 감전보호 적정성 검토의 다른방법 (0) | 2021.12.07 |
미래 전력사업 중 마이크로그리드+스마트그리드 (0) | 2021.12.03 |
차과도(과도 리액턴스) (0) | 2021.12.03 |
154kV 변전소와 모선 구성방식 (0) | 2021.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