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2. 통신

접지설비ㆍ구내통신설비ㆍ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등에 대한 기술기준 제5조(접지저항 등)

by 라라기업 2021. 10. 5.

(접지설비ㆍ구내통신설비ㆍ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등에 대한 기술기준)

 

제5조(접지저항 등)

 

① 교환설비·전송설비 및 통신케이블과 금속으로 된 단자함(구내통신단자함, 옥외분배함 등)·장치함 및 지지물 등이 사람이나 방송통신설비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통신관련시설의 접지저항은 10Ω 이하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호의 경우는 100Ω 이하로 할 수 있다.

 

1. 선로설비중 선조·케이블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시설하는 접지(단, 차폐케이블은 제외)

2. 국선 수용 회선이 100회선 이하인 주배선반

3. 보호기를 설치하지 않는 구내통신단자함

4. 구내통신선로설비에 있어서 전송 또는 제어신호용 케이블의 쉴드 접지

5. 철탑이외 전주 등에 시설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6. 암반 지역 또는 산악지역에서의 암반 지층을 포함하는 경우등 특수 지형에의 시설이 불가피한 경우로서 기준 저항값 10Ω을 얻기 곤란한 경우

7. 기타 설비 및 장치의 특성에 따라 시설 및 인명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③ 통신회선 이용자의 건축물, 전주 또는 맨홀 등의 시설에 설치된 통신설비로서 통신용 접지시공이 곤란한 경우에는 그 시설물의 접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지저항은 해당 시설물의 접지기준에 따른다. 다만, 전파법시행령 제25조의 규정에 의하여 신고하지 아니하고 시설할 수 있는 소출력중계기 또는 무선국의 경우, 설치된 시설물의 접지를 이용할 수 없을 시 접지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④ 접지선은 접지 저항값이 10Ω이하인 경우에는 2.6㎜이상, 접지 저항값이 100Ω이하인 경우에는 직경 1.6㎜ 이상의 피·브이·씨 피복 동선 또는 그 이상의 절연효과가 있는 전선을 사용하고 접지극은 부식이나 토양오염 방지를 고려한 도전성 재료를 사용한다. 단,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접지선의 경우에는 피복을 아니할 수 있다.

 

⑤ 접지체는 가스, 산 등에 의한 부식의 우려가 없는 곳에 매설하여야 하며, 접지체 상단이 지표로부터 수직 깊이 75cm 이상되도록 매설하되 동결심도보다 깊도록 하여야 한다.

 

⑥ 사업용방송통신설비와 전기통신사업법 제64조의 규정에 의한 자가전기통신설비 설치자는 접지저항을 정해진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⑦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방송통신관련 설비의 경우에는 접지를 아니할 수 있다.

 

1. 전도성이 없는 인장선을 사용하는 광섬유케이블의 경우

2. 금속성 함체이나 광섬유 접속등과 같이 내부에 전기적 접속이 없는 경우

'02.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공사 설계기준 KICI-2020 (Ver.6 2020년 10월)  (0) 2021.10.11
정보통신공사 설계업무 수행기준  (0) 2021.10.11
스피커 케이블  (0) 2021.07.18
OSI 계층 이야기  (0) 2021.07.17
광케이블  (0) 2021.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