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8. 변전

한시 & 순시 트립

by 라라기업 2022. 5. 5.

한시 & 순시는 계전기가 동작하는 시간을 가지고 부르는 용어입니다.

한시는 정해진시간 즉 한정시간을 말하고 순시는 매우짧은 순간적인 시간을 말합니다. 

예로 한시계전기는 적은사고일때 시간을 정하여 동작토록 하고 순시계전기는 대형사고 일때 사고와 동시에 (순간적으로) 동작토록하여 사고를 최소화시키는 계전기입니다. 

 

순시 : 일반적으로 단락 보호를 위한 보호 동작의 의미입니다.

단락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를 적당한 시간이 지연된 뒤 보호해서는 이미 사고가 중대해진 뒤가 될 터이니까요

이상전류가 검출될 경우 설정 값에 도달하면 매우 짧은 시간에 동작하는 보호동작을 말합니다.

 

한시 : 이상전류를 검출한 뒤 일정 시간후에 동작하는 보호동작의 의미입니다.

과전류(과부하)가 발생 할 경우 보호동작요소의 보호특성 곡선에 따른 지연시간 후 보호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전동기의 기동시에 정격전류의 약7배이상의 전류가 흐르는데 이때 기동시간 정도는 지연 된 후에 해당전류가 지속되면 차단하고 기동시간 이내에 정상전류로 복귀되면 참는(?) 동작입니다.

 

대부분의 계전기, EOCR,ACB 등은 두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각각 계통 또는 보호 될 부하의 특성에 맞게 설정하여야 합니다.

 

 

* ICS(Indicating contact swich unit) 한시요소

동작 보호하여야 할 기기나 선로의 단 시간 과부하용량인 전격의 150∼160%정도에 동작하도록 하는 것입니다(단시간 과부하로 서서히 동작하는 것)

한시는 장한시와 단한시로 나뉘는데 장한시는 계전기를 통하는 전류가 설정치를 오버하고 있더라도 장시간 후에 계전기를 트립 시키는 기능의 것인데 이것의 설정 전류는 계전기 정격의 최고 100%까지 세팅하게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정격의 100% 전류가 흐르더라도 여유가 있음으로 트립타임을 보통 10초이상 480초까지 길게 잡아서 트립시키게 됩니다.

단한시는 장한시로 설정된 전류에 연동하여 움직이는데 가령 1000A 정격의 계전기에서 장한시를 80%에 설정하고 단한시를 200%에 설정 하였다면 단한시 동작 전류는 장한시 설정 X2 로서 1600A가 됩니다.

여기에서는 정격보다 훨신 큰 전류를 검출하게 됨으로 트립에 이르는 시간도 짧아서 보통 1초 이내에 트립시키게 되어 있지요.

 

* IIT(Indicating Instantaneous Trip Unit): 순시요소

동작 변압기 여자돌입전류 및 전동기 등의 기동잔류에 부동작을 방지하는 것이다.

순시는 부하의 쇼트나 낙뢰 등으로 순간 전류가 엄청나게 흐를 때 급속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말 하는 것으로 설정 전류는 정격의 2배에서 많게는 20배까지 세팅하게 되어있고 이것에는 보통 외부설정 타입이 없고 내부적으로 최단시간의 타임을 주는데 50ms(미리세칸드) 정도의 빠른 속도를 가집니다.

 과전류 계전기가 트립되었을 때 'ICS', 'IIT'의 둘중 어느 것이 동작하였는가를 보면서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