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일상

테라칸 스토리5

라라기업 2022. 1. 12. 11:35

1. 개요

미쓰비시에서 최초 설계 및 생산된 직렬 4기통 디젤 엔진. 현대자동차에서 기술도입하여 자체 설계변경 등을 거쳐 장기간 여러 차종에 탑재하였다.
 

2. 상세

2.1. 미쓰비시

한때 호주에서 현지생산되었으며, 호주 사양의 시그마와 현지시장용 차종인 마그나를 통해 꾸준히 사용했다. 크라이슬러도 당시 제휴업체였던 미쓰비시를 통해 닷지 아리스/플리머스 릴라이언트크라이슬러 레 바론/닷지 600같은 자사 중형차에 옵션으로 제공한 적이 있다.

커먼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을 적용하는 등의 설계변경을 거쳐, 최고출력 178PS 사양까지 출시되었다. 파제로 스포츠(챌린저)와 트라이톤에 이 엔진이 탑재되었다.

2.2. 현대, 기아

D 엔진, A 엔진 이전에 현대자동차의 주력이자 유일한 소형 디젤 엔진이었다.

1986년, 포터(AH)와 그레이스에 처음으로 탑재되었으며, 이후 갤로퍼스타렉스리베로테라칸[1]봉고프레지오[2]에 탑재된 엔진이었다.

당시 현대의 대형 버스의 하부냉방형 에어컨 엔진으로도 사용되었다.

90년대 당시 국내의 디젤 엔진으로써는 쌍용의 OM60x 계열 엔진 다음으로 신뢰성이 높은 엔진으로 평가되었다.

저중속 토크가 좋아, 시내주행시 경쾌한 편이었으며, 고속도로의 제한속도 이내의 항속주행시에 무리가 없었다. 특유의 엔진음이 존재한다.[3] 이후에 약간 개량된 D4BA, 배기량을 높인 D4BB, 터보차처가 적용된 D4BF, 인터쿨러까지 적용된 D4BH까지 다양한 개량형이 출시되었다.

단점으로는 타 디젤 엔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비가 영 좋지 않았고[4]기아의 디젤 엔진만큼은 아니지만 제대로 관리를 안 할 경우 내구성 문제도 있었던 편이었다. 그도 그럴것이 이 엔진이 장착된 차종들은 대부분 저속에서의 견인력[5]을 위주로 세팅되었기에 연비에서 손해를 보게된다.[6][7]. 하지만 워낙 판매량이 많았었기에, 부품 수급이 매우 쉽다.

후속 엔진은 현대 A 엔진. 2021년 현재 포터 및 쏠라티의 주력 엔진으로 탑재 중이다.

국내 정비업계 통칭 '싸이클론 엔진'은 대개 D4B계 엔진을 뜻한다.

현대생산분의 역사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이 곳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8]

 

3. 형식

3.1. 현대, 기아의 형식

형식명
보어 × 스트로크(mm)
배기량(cc)
사양
D4BX
91.1 × 95
2,476
자연흡기
D4BA
자연흡기[9]
D4BF
터보차저
D4BH
터보차저인터쿨러
D4BB
91.1 × 100
2,607
자연흡기 [10]
  • D4BX : 초기형
  • D4BA : 현대 T-엔진. 실린더 헤드를 현대에서 설계변경하였다. 동시에 출력도 상승하였다. 갤로퍼 초기형에도 들어간 엔진이었다. 이후 뉴 그레이스, 뉴 포터가 출시되면서 엔진 역시 T-2 엔진 및 터보 엔진으로 되었다.
  • D4BB : 현대 T-2 엔진. 스트로크를 늘린, 현대 자체 설계변경한 엔진. 최고출력 83PS, 최대토크 17kgf·m. 뉴 그레이스(투어 제외), 뉴 포터, 이후 스타렉스 초기형 [11]에도 사용되었다. 2003년까지 생산된 후, 배출가스 규제 불충족으로 내수에서 단종되었다. 비상발전기 등의 산업용으로 현대위아에서 2021년 현재에도 여전히 생산중이며, 건설기계 원동기 교체사업에서도 활용되는 중이다.
  • D4BF : 터보차저가 적용된 사양. 최고출력 85PS, 최대토크 20kgf·m였으나 후에 83PS로 줄었다. 갤로퍼, 그레이스 투어,[12] 뉴 포터 일부 모델, 리베로, 스타렉스 초기형[13]에 사용되었다. 2003년까지 생산된 후, 배출가스 규제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어 국내에서는 단종되었지만 해외 수출용으로는 아직까지도 현역으로 쓰이고 있다. 미쓰비시에도 비슷한 엔진이 있다.
  • D4BH : 터보차저에 인터쿨러까지 적용된 사양. 최고출력 103PS, 최대토크 24.0kgf·m[14]로, 이전에 비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1993년 갤로퍼를 시작으로, 1999년에는 스타렉스, 이후에는 테라칸[15], 포터 2[16], 리베로, 봉고 3 트럭 등 순차적으로 적용되었다. 유로 3 기준까지 충족시킨 엔진으로, 2008년에 도입된 유로 4 기준에 미달하여 각각 A 엔진J 엔진으로 대체되었. 성능은 좋으나, 연비는 가장 좋지 않다.[17]

 

4. 적용차종

4.1. 미쓰비시(4D55[18], 4D56[19])

4.2. 현대/기아(D4B시리즈)

 

 

※ 나무위키 미쓰비시 4D5엔진에서 퍼옴